<대한민국 정치의 ‘얕음’에 관한 나의 관찰기:전여옥 이야기>
정확히 14년 전. 1998년 4월. 일본 게이오대 법학부 방문연구원으로 초청받아 도쿄행 비행기에 오른 나의 가방엔 두 가지가 깊숙이 챙겨져 있었다. 전여옥의 ‘일본은 없다’와 재일 르포 작가 유재순의 도쿄 전화번호. 이건 완전히 우연이었다.
전여옥의 책을 챙겨간 이유는 그 짧은 기간 KBS 도쿄특파원을 지내며 어쩌면 저렇게 일본어에 능숙해 일본을 샅샅이 파악하고 책까지 썼을까하는 지적 호기심 때문.
재일 르포 작가 유재순의 전화번호를 챙긴 건 유재순이 일본에 관해 많을 걸 알고 있으니 만나보라며 신문사에 있던 한 지인이 그의 전화번호를 출국하기 전에 적어 주었기 때문.
유재순에게 전화를 걸어 신주쿠의 한 커피숍에서 만났다. 이런 저런 일본 얘기를 나누던 중 유재순의 충격적인 주장이 쏟아졌다. “전여옥의 ‘일본은 없다’는 내가 책을 쓰려고 이미 글로 써뒀거나, 메모한 것 모두를 그대로 베낀 것이다.!”
아니 뭐라고요? 뭐라고 했어요? 유재순의 말이 이어진다. “도쿄특파원으로 혼자 왔으니 내 집을 들락거리며 친하게 지냈어요. 근데 그대로 나도 모르게 복사해 갔다가 한국에서 책으로 내놔 베스트셀러가 된 거예요.”
아, 그랬었구나. 누가 볼까, 마음 한 구석에 깊은 비밀로 가둬둔 채 1년 후 귀국해 신문사로 복귀했다. 전여옥은 평론가라는 이름을 달고 활동하고 있었다. 그런데, 2002년 8월 이회창과 노무현이 출마한 대선을 앞두고, 또 우연히 ‘주간조선’에서 전여옥이 가수 조영남과 대담하는 기사를 읽게 됐다.
전여옥의 노무현 찬가가 쏟아졌다. “…이회창씨가 대통령이 안됐으면 좋겠다. 이번 대선에서는 가난과 실패를 겪어본 사람이 뽑혔으면 좋겠다. 자수성가한 사람 말이다.” “(노무현이)부산에서 2년 반 동안 요트에 미쳤다고 알려졌는데 그것도 마음에 들었죠. 단순히 호화생활을 했다는 부정적인 생각보다는 실컷 놀아봤으니 앞으로 사고 덜 치겠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