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사용 -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 나는 왕이로소이다 어머님의 가장 어여쁜 아들 나는 왕이로소이다 가장 가난한 농군의 아들로서......
그러나 *시왕전(十王殿)에서도 쫓기어난 눈물의 왕이로소이다.
[맨 처음으로 내가 너에게 준 것이 무엇이냐] 이렇게 어머니께서 물으시면은
[맨 처음으로 어머니께 받은 것은 사랑이었지요마는 그것은 눈물이더이다]
하겠나이다 다른 것도 많지요마는......
[맨 처음으로 네가 나에게 한 말이 무엇이냐] 이렇게 어머니게서 물으시면은
[맨 처음으로 어머니께 드린 말씀은 (젖 주셔요)하는 그 소리였지요마는
그것은 (으아-)하는 울음이었나이다] 하겠나이다.다른 말씀도 많지요마는......
이것은 노상 왕에게 들리어 주는 어머니의 말씀인데요.
왕이 처음으로 이 세상에 올 때에는 어머니의 흘리신 피를 몸에다 휘감고]왔더랍니다.
그 날에 동내(洞內)의 늙은이와 젊은이들은 모다 [무엇이냐]고 쓸데 없는 물음질로 한창 바쁘게 오고 갈 때에도
어머니께서는 기꺼움보다도 아무 말씀도 없이 속 아픈 눈물만 흘리셨답니다.
빨가숭이 어린 왕 나도 어머니의 눈물을 따라서 발버둥질 치며 [으아]소리쳐 울더랍니다.
그 날 밤도 이렇게 달 있는 밤인데요.
으스름 달이 무리서고 뒷동산에 부엉이 울음 울던 밤인데요.
어머니께서는 구슬픈 옛이야기를 하시다가요 일 없이 한숨을 길게 쉬시며 웃으시는 듯한 얼굴을 얼른 숙이서더이다. 왕은 노상 버릇인 눈물이 나와서 그만 끝까지 섧게 울어 버리었소이다 울음의 뜻은 도무지 모르면서도요.
어머니께서 조으실 때에는 왕만 혼자 울었소이다.
어머니의 지으시는 눈물이 젖 먹는 왕의 뺨에 떨어질 때에면 왕도 따라서 시름없이 울었소이다.
열한 살 먹던 해 정월 열나흗 날 밤, 맨재텁이로 그림자를 보러 갔을 때인데요 명(命)이나 긴가 짜른가 보랴고
왕의 동무 장난군 아이들이 심술스럽게 놀리더이다 모가지 없는 그림자라고요.
왕은 소리쳐 울었소이다 어머니께서 들으시도록 줄을까 겁이 나서요.
나뭇군의 산타령을 따라가다가 건넌 산 비탈로 지나가는 상둣군의 구슬픈 노래를 처음 들었소이다.
그 길로 옹달우물로 가자면 지름길로 들어서면은 찔레나무 가시덤풀에서 처량히 우는 한 마리 파랑새를 보았소이다.
그래 철없는 어린 왕 나는 동무라 하고 쫓아가다가 돌부리에 걸리어 넘어져서 무릎을 비비며 울었소이다.
할머니 산소 앞에 꽃 심으러 가던 한식(寒食) 날 아침에
어머니께서는 왕에게 하얀 옷을 입히시더이다.
그리고 귀밑머리를 단단히 땋아 주시며
[오늘부터는 아무쪼록 울지 말아라]
아----- 그 때부터 눈물의 왕은!
어머니 몰래 남 모르게 속 깊이 소리 없이 혼자 우는 그것이 버릇이 되었소이다.
누-런 떡갈나무 우거진 산길로 허물어진 봉화(烽火) 뚝 앞으로 쫓긴 이의 노래를 부르며 이슬렁거릴 때에 바위 밑에 돌부처는 모른 체하며 감중련하고 앉았더이다.
아---- 뒷동산 장군(將軍) 바위에서 날마다 자고 가는 뜬구름은 얼마나 많이 왕의 눈물을 싣고 갔는지요.
나는 왕이로소이다. 어머니의 외아들 나는 이렇게 왕이로소이다.
그러나 그러나 눈물의 왕! 이 세상 어느 곳에서든지 설음이 있는 땅은 모다
왕의 나라로소이다.
시와수필